2025년에도 여전히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제도가 바로 기초노령연금입니다.
특히 만 65세를 앞두고 계신 분들이라면 “나는 받을 수 있을까?”, “재산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탈락하는 거 아닐까?” 하는 고민을 해보셨을 텐데요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, 재산 기준, 소득인정액 계산법, 그리고 온라인 모의계산 방법까지 실제 예시를 통해 자세히 소개해드립니다.
✅ 기초노령연금이란?
기초노령연금은 만 65세 이상 고령자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어르신을 대상으로 국가가 매달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공적 복지 제도입니다.
국민연금과는 별개로 운영되며, 소득과 재산만 기준에 부합하면 국민연금 수령 여부와 무관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🎯 2025년 기초노령연금 수급 자격 요건
1. 연령 요건
- 만 65세 이상
- 2025년 기준, 1959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라면 신청 가능
2. 거주 요건
-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
- 주민등록상 국내 거주 중이어야 하며, 실거주 확인 필요
3. 소득인정액 기준
소득인정액이 아래 선정기준액 이하인 경우 수급 가능
가구 형태 | 2025년 선정기준액 |
단독가구 | 월 2,280,000원 이하 |
부부가구 | 월 3,648,000원 이하 |
※ 부부 중 한 명만 신청해도 부부가구 기준 적용됨
📊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
소득인정액은 ①소득평가액 + ②재산의 소득환산액의 합계입니다.
▸ ① 소득평가액
- 근로소득: 기본공제 112만 원 후, 나머지 금액의 30% 공제
- 기타 소득: 사업소득, 연금소득, 임대소득 등 모두 포함
📌 예시) 월 200만 원의 근로소득 → 112만 원 공제 후 88만 원의 30% = 26.4만 원
→ 소득평가액 약 26.4만 원
▸ ② 재산의 소득환산액
- 계산식: (재산 – 기본재산액 – 부채) × 4% ÷ 12
▸ 기본재산 공제액 (지역별 상이)
지역구분 | 공제 금액 |
대도시 | 1억 3,500만 원 |
중소도시 | 8,500만 원 |
농어촌 | 7,250만 원 |
📌 예시)
서울 거주자, 재산 2억 원 보유 →
(2억 – 1억 3,500만 원) × 0.04 ÷ 12 = 약 18.75만 원
→ 재산의 소득환산액: 약 18.75만 원
※ 금융재산 2,000만 원 추가 공제 가능
※ 차량가액 4,000만 원 이상은 전액 소득으로 간주
※ 국가유공자, 장애인 등의 경우 차량 1대 재산에서 제외 가능
🔍 기초노령연금 모의계산 방법
공식적인 심사를 받기 전, 온라인에서 간단하게 수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✔ 모의계산 이용방법
- 기초연금 공식 홈페이지 접속
- 메인화면에서 ‘모의계산’ 메뉴 클릭
- 거주지역, 소득, 재산 등 기본정보 입력
- 예상 수급 여부 및 수령 금액 확인
모의계산은 참고용이며, 실제 수급 여부는 국민연금공단의 소득·재산 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.
📝 기초노령연금 신청 방법
신청처
-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
-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
-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도 가능
제출서류 예시
- 본인 신분증
- 통장 사본
- 재산 및 소득 관련 서류 (예금, 적금, 주식, 부채 내역 등)
- 대리신청 시 위임장 및 대리인 신분증
신청 후 약 1~2개월 내 심사 결과가 통보되며, 조건 충족 시 다음 달부터 지급됩니다.
기초노령연금은 단순히 나이만 충족한다고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아닙니다.
소득과 재산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소득인정액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, 거주 지역에 따른 공제 금액, 차량·회원권 보유 여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.
2025년에는 기준 금액과 계산 방식에 일부 변경 사항이 있었기 때문에, 이전 정보만 믿고 넘기지 마시고 반드시 모의계산을 먼저 진행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.
이 글을 통해 부모님, 주변 지인의 수급 가능성을 미리 파악하고, 보다 빠르게 신청 준비를 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.